더 기아 PV5 테크 데이
기아가 22일 경기도 광명시에서 ‘더 기아 PV5 테크 데이’를 개최하고 PV5 개발 과정과 주요 기술을 공개했다. 실사용자 중심 설계와 다양한 공간 패키징을 강조했다.
더 기아 PV5 테크 데이
기아는 PV5의 본질을 다양한 용도에 대응하는 맞춤형 모빌리티로 정의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실제 물류 현장에 개발 인력을 투입하고 자영업자·배달 종사자 등 현업 전문가들과 협업했다. 나아가 ‘PBV 파트너스 데이’를 열어 주요 소비자와 국내외 기업 고객을 개발에 직접 참여시켰다.
더 기아 PV5 테크 데이
이를 통해 “누구나 편하게 타고 내렸으면 좋겠다”, “팔레트 및 편한 적재와 차박” 등 실제 고객 의견을 적극 반영했다.
적재함에 별도의 평탄화 데크를 선보였으며 특히 2열은 의견을 기반으로 도어 열림 폭은 각각 399mm, 775mm로 설계했다. 카니발보다 스텝은 50mm 낮고, 도어 열림 폭은 52mm 넓은 수치다.
더 기아 PV5 테크 데이
차량 유지비를 고려한 설계도 돋보인다. 전면에는 3분할 범퍼를 적용해 충돌 시 최소 부위만 교체 가능하도록 했다. 헤드램프 LED로 구성해 내구성과 유지 효율을 높였다.
더 기아 PV5 테크 데이
실내 역시 사용자 의견을 수렴한 ‘L-트랙’ 고정 레일과 전용 액세서리 키트 ‘기아 애드기어(Add-Gear)’ 액세서리를 적용했다. 이를 통해 통해 수납 모듈, 전자 장비 등을 자유롭게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다.
E-GMP.S
또한 PV5는 넓은 실내 공간을 자랑한다. 드라이브 모듈 최적화와 서스펜션 구조 단순화 덕분이다. 모터, 인버터, 감속기를 하나로 통합하고 PE 모듈을 장착했으며 셀-투-팩(Cell-to-Pack) 기반 표준 배터리 시스템을 도입해 모듈형 패키지와 소형화를 실현했다.
더 기아 PV5 테크 데이
서스펜션은 후륜에 토션빔 구조를 적용해 플로어 높이를 낮췄다. 승차감에 약점이 있는 토션빔 구조지만 분리형 CTBA 기술을 도입해 기존 하나로 된 부싱 구조를 나누어 분리했다. 이를 기반으로 내구성이 요구되는 부위는 강한 고무 재질을, 주행 성능에 특화된 부위는 연한 재질을 써 차량 하중과 주행 환경에 맞게 튜닝했다. 이를 통해 동일 서스펜션을 사용하는 카고와 패신저의 승차감을 차별화했다.
더 기아 PV5 테크 데이
이러한 노력 덕분에 PV5 컴팩트 기준 전장 4,495mm의 준중형 차급임에도 3열에서 1,000mm가 넘는 헤드룸과 레그룸을 확보했다. 이는 기아 카니발보다 넓은 공간이다.
더 기아 PV5 테크 데이
또한 플렉서블 바디 시스템으로 다양한 확장성을 제공한다. 1열 구조를 제외한 리어 오버행, 테일게이트, 쿼터 글라스를 모듈 단위로 구성해 총 16종의 바디 타입을 구현할 수 있다.
더 기아 PV5
특히 D필러 이후 차체는 조립형 후측방 어라운드 가니쉬로 200mm 연장 가능하다. 아울러 엔드 모듈의 테일게이트는 양문형, 창문형 등 다양한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다. 차체는 외골격 환형 구조를 구현해 안정성고 NVH 성능을 끌어올렸다.
더 기아 PV5 테크 데이
이외에도 PBV 컨버전을 통해 오픈베드, 캠핑카 등 다양한 수요에 대응한다.
한편, 기아는 다음 달 PV5 패신저 2-3-0과 카고 롱 모델의 국내 고객 인도를 시작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