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서스 인터내셔널 최고 책임자 다카하시 와타나베를 2023 재팬 모빌리티쇼에서 만났다. 지금은 토요타 사장으로 부임한 사토 코지의 자리를 맡은 다카하시 와타나베는 현재 일본 자동차 업계에서 가장 '핫'한 인물이다. 그를 만난 렉서스 전동화에 관해 짧은 견해를 나눴다.
렉서스 LF-ZC
Q) 렉서스 브랜드는 2035년까지 렉서스 브랜드 전 카테고리에서 전동화 100%를 진행하겠다고 발표한바 있다. 오늘 새롭게 선보이는 신차와 콘셉트 모델이 전동화를 향한 과정이라고 생각되는데 현재 렉서스의 전동화 전략의 진행 상황이 어떻게 되고 있는지 진행 상황에 대하여 궁금하다.
A) 토요타자동차 안에서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각 브랜드별로 역할을 정해서 진행한다. 토요타의 역할부터 말씀드리자면, 글로벌 각 지역에서 가장 좋은 솔루션을 제안하고, 다양한 좋은 선택지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이것이 멀티 패스웨이 전략이다. 렉서스의 역할은 전동화 기술을 이용하여 미래에 어떤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는지, 어떤 좋은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을지 생각하는 것이다. 전동화 실행에 있어 렉서스를 주축으로 삼아 앞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우리들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다카하시 와타나베 렉서스 인터내셔널 사장
Q) 앞서 토요타 기자 회견을 역시 토요타와 렉서스의 전동화 방향성에 대한 상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자리였다고 생각한다. 토요타와 렉서스가 전동화를 향한 동일한 목표를 설정했다고 생각이 드는데 토요타 대비 렉서스만의 전동화 전략에 대한 차별화 포인트에 대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부탁드린다
A2. 전동화 면에서 BEV 자동차를 만드는 입장에서 기술을 어떻게 발전시켜 나가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BEV 자동차를 만드는 브랜드로서 기술력 측면에서 견인하는 것이 렉서스의 역할이라고 본다.
렉서스는 자동차를 만드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다시 보고, BEV에 있어서 가장 좋은 자동차 만들기 과정을 생각할 것이다. 그리고 BEV의 특징을 살릴 수 있도록 필요한 기술들과 구성요소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생기는 새로운 부가가치들을 다음 세대에 넘겨줄 수 있도록 그 기반이 될 만한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새로운 BEV 개발을 같이 해 나가는 것이 올해 새롭게 마련한 조직인, Kato 사장이 이끄는 BEV Factory이다.
BEV 팩토리에서 각 요소가 되는 기술을 발전시키고 이 기술을 다음 세대에 전달하면서 플랫폼도 새롭게 개발하는 등 다양한 생산 방식을 만들어 나가는 전체 과정 속에서 기술은 더욱 더 발전해 나갈거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토요타에서 새로운 전기차가 나올텐데 이를 더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렉서스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렉서스 LF-ZC
Q) 상반기 진행된 테크니컬 워크샵에서 기가 캐스팅이라는 모듈을 새롭게 적용하겠다고 발표한바 있는데 렉서스에서는 언제부터 기가캐스팅 모듈이 적용되는지 기존 대비 기가 캐스팅을 적용 시에 생산 공정이나 비용 등 어떤 점들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지 알려달라.
A3. 기가 캐스팅을 포함한 다양한 기술들이 오늘 발표한 LF-ZC부터 도입할 예정이다. 기가캐스팅이라는 기술의 가장 큰 장점은 자동차를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자동차 구조를 크게 봤을 때 프론트 모듈, 리어 모듈, 센터 모듈 이렇게 크게 3개로 나누고 이를 모듈화 하면 보다 심플한 구조의 BEV 플랫폼을 만들 수 있다. BEV의 구조 혁신을 통해서 더욱 더 좋은 구조의 자동차를 만들 수 있을 것이고 기가 캐스팅 기술 역시 더욱 발전해 나갈 것이라 생각한다.
Q) 최근 토요타와 LG 에너지 솔루션과 MOU 등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토요타의 다양한 투자를 통해 전기차 개발에 대한 의지를 느낄 수 있었다. 지난 테크니컬 워크샵에서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대한 계획을 발표한 바 있는데 전고체 배터리를 비롯해 배터리 개발에 대한 현재의 진척 상황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다. 또한 LG 에너지 솔루션의 배터리의 경우 렉서스 전기 차량에 적용이 되는지 궁금하다.
A4. BEV를 보급하기 위해서는 배터리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가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거라 생각한다. BEV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EV 레인지, 즉 주행 거리라고 생각하고 고객이 안심하고 탈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탑재량을 늘리는 것만으로도 가능하다 생각할 수 있겠지만, 여러가지 측면에서 생각해보면 차체 무게가 증가한다는 단점과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불리할 것이다. 또 배터리에 사용하는 자원도 많을 것이다.
렉서스 인터내셔널 임원진
그렇기 때문에 얼마나 상품력 있는 배터리를 탑재해서 주행 거리를 늘려야 하는지, 그리고 얼마나 배터리 의존도를 낮추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배터리 등의 EV 구성요소들을 지금 가지고 있는 기술을 바탕으로 발전시켜 효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누가 어떤 배터리를 쓰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미래의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배터리를 보급하고 지금의 배터리 기술을 성장시키기 위해 동료들과 함께 개발과 생산 포메이션을 생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위한 대응 중 하나가 조금 전 말씀하신 북미에서 체결한 LG와의 MOU라고 생각해달라.
Q) 테슬라의 경우 기가 캐스팅 6분할이다. 토요타의 경우 3분할이라고 했는데 차량 사고시에 어떻게 해결을 할 것인 지 궁금하다.
A5. 조금 전 3개로 나눈다고 말씀드린 것은 큰 영역으로 구성요소를 크게 3개로 나눴다는 것이다. 크게 요소를 3개로 나눴다는 것은 예를 들어 프론트 모듈 안에서 어디까지 일체화 시키고 사고가 났을 때 그 부분은 설계 시 고려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일반적으로 범퍼링 코스가 프론트 멤버로 연결되는 부분에 있어 제조를 할 때 어느정도 구분해서 만들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어떤 부분을 나누어야 할지 앞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