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란차 Live
내차사기
내차팔기
미디어
숏폼
고객센터
마이페이지
현대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XCIENT Fuel Cell)이 스위스에서 종합 누적거리 500만 km를 돌파했다.이는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이 2020년 10월 스위스 도로에서 운행을 시작한 지 2년 만에 달성한 성과로, 양산형 대형 수소전기트럭이 누적 주행거리 500만 km를 넘은 세계 최초이자 유일한 사례다.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은 현대자동차가 세계 최초로 양산한 대형 수소전기트럭으로 2020년부터 현재까지 스위스 23개 회사에 총 47대가 수출됐다.
스위스에 도입된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은 첫 운행을 시작한 이후 현재까지 이산화탄소 배출 없이 생산된 ‘그린수소’만을 연료로 사용해 유럽의 친환경 수소 밸류체인 구축에도 기여하고 있다.
현대차 상용혁신사업부장마크 프레이뮬러(Mark Freymueller) 전무는 “이번 성과로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의 신뢰성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입증했다”며 “현대차는 스위스 사례가 수소 사회로의 전환을 목표하는 많은 국가에 귀감이 되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앞으로 수소전기트럭의 공급처를 유럽 전역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는 스위스 외에도 미국, 독일 등 세계 주요 시장에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을 잇따라 공급하며 친환경성과 우수한 기술력을 인정받은 바 있다. 지난 8월에는 독일 연방디지털교통부(BMDV)의 친환경 상용차 보조금 지원 사업과 연계해 7개 회사에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27대를 공급하기로 했다.
현대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세계 최초 종합 누적주행 500만 km 달성
2019년부터 국군 지휘차량으로 선정되어 각급 부대로 배치되고 있는 쌍용차 뉴 렉스턴 스포츠의 초신 버전이 모터플렉스 카메라에 포착됐다.
이번에 포착된 군용 뉴 렉스턴 스포츠는 지난 14일부터 200여대를 시작해서 올해까지 700대까지 공급하는 모델이며 향후 군 지휘차량 교체 계획에 따라 순차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도로에서 만난 군용 뉴 렉스턴 스포츠는 전용휠과 오프로드 용 타이어를 장착해 노멀 버전 대비 더 강력한 외관을 자랑한다. 여기에 프론트 언더커버와 견인고리 등으로 차별화를 다시한번 보여준다. 무엇보다 지휘차량이라는 특징에 걸맞게 적재공간에 지휘통신장비를 싣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군용 뉴 렉스턴 스포츠는 e-XDi220 엔진과 쌍용이 자랑하는 4륜구동 시스템을 조합해 국내의 다양한 도로와 야전에서 요구되는 험준한 주행환경을 극복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손꼽힌다. 배기량은 2.2리터, 최고출력은 202마력, 최대토크는 45.0kg·m를 각각 발휘한다. 여기에 랙 타입 전자식 스티어링 시스템(R-EPS)도 적용했다.
특히, 지난 1월 파워트레인 퍼포먼스를 강화하고 국내 픽업모델 최초의 첨단 커넥티드카 시스템 적용은 물론 16가지의 최첨단 주행안전 보조시스템(ADAS)에 이르기까지 편의∙안전성 등을 갖춰 새롭게 출시한 뉴 렉스턴 스포츠는 등판능력과 장애물 극복 능력 또한 향상되었다.
이번에 포착된 군용 뉴 렉스턴 스포츠는 *포병여단 지휘통신차량으로 K111로부터 시작한 국산 전술기동차량의 명맥을 잇는 모델이다. 군용 뉴 렉스턴 스포츠는 향후 한국형 소형전술차량(KLTV: Korean Light Tactical Vehicle)과 함께 야전에서 다양한 작전에 투입되어 활약할 전망이다.
국군 지휘차량 ‘뉴 렉스턴 스포츠’, 도로에서 실물 만나보니
이탈리아의 마세라티가 경계를 허물고 바비와 협업한 결과물을 공개했다. 마세라티 그레칼레를 기반으로 바비코어(Barbiecore)의 결정적 색상인 ‘핑크’로 전체를 도색했다. 여기에 전후에 각각 포인트 컬러를 배치해 톡톡튀는 감각을 표현했다.
이 차의 공식명칭은 ‘바비 마세라티 그레칼레’로 세계적으로 오로지 커스텀 유닛으로만 판매된다. 수익금액은 모두 자선단체에 기부한다. 마세라티와 바비의 이번 협업은 올해 최고의 패션 트렌드로 떠오른 바비코어를 반영한 것이다.
바비코어는 극도의 페미닌함을 나타내는 핑크컬러로 전체를 도색해 이미 틱톡과 인스타그램 등 소셜 미디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키고 있다. 니키 미나즈, 해리 스타일스 같은 페미닌 스타들은 물론 앤 해서웨이, 메건 폭스, 리조, 켈리 쿠오코 및 브래드 피드까지 바비코어를 채택하고 있다.
바비코어는 이탈리아 발렌티노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피에르파올로 피치올리가 2022년 가을/겨울 ‘발렌티노 핑크 PP’를 선보이며 이탈리아에서도 극렬한 광풍을 일으켰다. 발렌티노는 이 컬러에 대해 “현실주의의 필요성으로부터 해방”이라는 묘사를 했다.
문화평론가들은 전세계적인 바비코어 현상에 대해 포스트 펜데믹의 영향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어두운 분위기를 밝게 만드는 컬러라를 것. 혹은 이를 두고 ‘도파민 드레싱(Dopamin Dressing)’ 트렌드의 일종이라고 분석하는 평론가들도 있다. 이유는 한가지다. 핑크는 ‘바비’가 좋아하는 색이고 바비의 아름다움은 보는 이를 기분좋게 하는 것이기 때문.
한편 바비코어를 입은 마세라티 그레칼레는 530마력의 V6 넵튜노 엔진을 장착한 트로페오 버전이다. 레이싱 헤리티지를 기반으로 하는 강력하고 마초적인 자동차와는 다소 이례적인 협업이지만 마세라티는 이번 협업에 ‘다양성’이라는 의미를 부여했다.
바비코어 입은 마세라티 그레칼레, 대담한 변신 주목
아찔한 드리프트쇼로 유명세를 얻은 켄 블록이 이번엔 미국 라스베가스를 앞두고 아우디와 함께 새차를 공개했다. 정식명칭은 아우디 S1 e-트론 콰트로 후니트론(Audi S1 e-tron quattro Hoonitron). 전동화 시대에 걸맞게 전기차 파워트레인을 채택한 이 차는 세마쇼의 흥행몰이를 위해 라스베가스를 데뷔무대로 삼았다.
아우디가 공개한 아우디 S1 e-트론 콰트로 후니트론은 2개의 전기모터를 장착하고 4륜구동 방식을 채택했다. 정확한 수치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아우디는 저명한 파이크스 피크(Pikes Peak) 힐 클라이밍 경주에서 정상을 차지했던 아우디 스포츠 콰트로 S1의 기억을 떠올리기에 충분해 보인다.
켄 블록의 드리프트를 기대하는 팬들에게는 분명 어떤 영상이 나올지 귀추가 주목되는데, 이버에는 자동차 드리프터들만을 전문적으로 쫓아온 ‘일렉트리카나 필름(Electrikhana film)’이 맡았다. 일렉트리카나 필름은 아우디 90 IMSA GTO와 아우디 200 트랜스 Am, 아우디 콰트로 그룹B A2 등 전설적인 랠리카도 함께 등장시킬 예정이다.
아우디 AG의 기술개발 위원인 올리버 오프만(Oliver Hoffmann)은 “S1 후니트론을 통해 우리는 아우디에서 완전히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다. 파트너인 켄 블록과 함께 하는 도전은 하늘을 나는 듯한 즐거움과 흥미진진함을 느겼다. 완전히 새로운 환경에서 ‘기술을 통한 진보(Vorsprung durch Technik)’가 어떻게 제시되는지 보는 것은 멋진 일”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켄 블록이 아우디 S1 e-트론 콰트로 후니트론과 함께 누빌 공간은 라스베가스의 유명한 공간들을 야간에 누비는 형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폐쇄된 도로에서 펼치는 켄 블록의 아찔한 드리프터가 이번에는 어떤 명장면을 보여줄 지 기대된다.
켄 블록, 세마쇼 앞두고 ‘아우디 S1 후니트론’ 공개
GMC가 시에라 EV 드날리 에디션 1을 필두로 순수 전기차 3종을 선보였다. 완전 충전시 640km(GM 발표치)를 주행할 수 있으며 픽업트럭 고유의 견인능력과 허머 EV 에서 선보였던 크랩 워킹 등 EV 지원기술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모플포토] GMC가 처음 선보인 3종의 전기차, 주행거리는?
최근 미국의 SUV 전문 메이커인 GMC가 미국고속도로안전협회의 명령에 따른 리콜 조치가 화제를 모으고 있다. 리콜내용은 2010년부터 2017년식 GMC 터레인의 헤드라이트 조도가 너무 밝아 조도를
미국고속도로안전협회(이하 NHTSA)는 최근 GMC의 SUV 터레인 헤드라이트가 너무 밝아 125cd를 넘지 않도록 리콜을 진행했다. 하지만 GMC는 터레인 헤드라이트에 조도를 낮추는 패치 하나를 부착하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NHTSA는 이 차의 헤드라이트가 너무 밝아 마주보는 앞차의 눈부심을 야기시킬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조도를 낮추는 리콜 명령을 내렸다. 이에 대해 GM은 GMC 리콜 명령을 피하기 위한 제안을 NHTSA에 제출했으나 NHTSA는 이 제안을 거부했다.
양측의 제안과 제안거부 사태로 인해 GMC는 결국 리콜을 단행했지만 NHTSA의 기준점을 최소한만 맞추는 형태로 리콜을 진행한 셈이다. 아울러 GMC는 리콜에 참여하지 않으려는 소유주에 대해 우려를 덜어줄 만한 다른 조치도 진행하지 않기로 했다. 당초 GMC는 이 문제에 대해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의견을 냈고, 의견에 대한 관련 데이터도 제출했지만 NHTSA는 끝까지 안전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없다며 제안을 거부했었다.
GMC의 리콜은 결국 완료하는데 단 12분이 걸리는 최소한의 조치로 끝났다. 리콜을 받은 일부 GMC 소유주들은 리콜 후 “반창고를 붙였다”라며 불쾌감을 드러낼 정도였다. 일부 소비자는 “영구적인 수정도 아니며 전문성도 결여된 터무니없는 일”이라고 폄하했다.
GMC 터레인의 황당한 리콜, ‘스티커 한장 붙여줘’
디 올 뉴 그랜저(출처 : 하이튜닝)
현대차의 2022년 최대 기대작인 7세대 ‘디 올 뉴 그랜저’의 공식 디자인이 공개된 가운데 이 차의 실물이 도로에서 포착되 화제를 모으고 있다.
그랜저의 헤리티지 계승을 자처하면서 현대차의 플래그십 세단으로서 가치를 재정립하겠다는 목표를 앞세운 ‘디 올 뉴 그랜저’. 실제 도로에서 포착한 모습을 보면 공식 보도사진이 아닌 터라 보다 더 현실적인 모습이다.
특히 뒤는 물론 전면부의 하나로 끊임없이 연결된 수평형 램프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또 보도사진으로 공개한 컬러가 아닌 회색 계열의 어두운 컬러는 보다 현실적으로 다가온다. 다만 이번 현대차 디 올 뉴 그랜저에 대해선 기대가 컸던 만큼 수 많은 예상도와 스파이샷이 공개되었던 탓에 참신함 보다는 눈에 익었다는 평가가 많다.
다만 인테리어는 상대적으로 다양한 변화가 눈에 띈다. 기어 노브를 스티어링 휠 뒤쪽으로 옮겼고, 계기판 옆에 지문인식을 통한 결재 서비스도 채택할 예정이다. 아울러 전동식 도어커튼은 물론 리클라이닝 기능까지 갖춘 2열 공간은 플래그십 세단에 대한 기대감을 채우기 충분해 보인다.
디 올 뉴 그랜저
현대차는 이번 디 올 뉴 그랜저에 대해 사전 프리뷰 행사와 미디어 테스트 드라이브 등 다양한 마케팅 및 홍보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이달 21일 부산 오토스퀘어를 시작으로 다음달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프리뷰 행사를 가질 예정이며 공식 출시는 11월 초가 될 전망이다.
현대차 ‘디 올 뉴 그랜저’, 도로에서 실물 살펴보니
캐딜락의 순수 전기차이자 미래 기술력의 집결체인 셀레스틱(CELESTIQ)의 양산형 모델이 공개됐다. 기존 대량생산 자동차에서 벗어난 수제작 방식을 지향하는 고급모델이다.
[모플포토] 캐딜락 셀레스틱 양산형 완전공개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 등으로 인해 신차 출고 기간이 줄어들기는커녕 점차 늘어나는 데다 완성차 업계는 신차 할인 혜택을 줄이고 있다. 여기에 원자재 공급난까지 겹쳐 신차 출고 지연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인 가운데 즉시 출고가 가능한 ‘신차급 중고차’로 수요가 몰리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1월부터 8월까지 신차급 중고차 판매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산 신차급 중고차는 출고 후 1년 이내, 주행거리 1천km 미만의 신차 혹은 출고 후 2년 이내, 주행거리 1만km 미만의 차들을 일컫는다.
전체 중고차 판매량은 전반적으로 시장의 성수기와 비수기를 따라 변동폭이 큰 편이다. 하지만 신차급 중고차의 판매량은 이와 관계없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판매량 중 신차급 중고차의 2022년 1월 판매비중은 13%였으나 올해 8월에는 무려 20%까지 늘어났다. 수요의 변동폭이 적다는 점과 꾸준한 판매세 증가 추세는 중고차 업계에선 이례적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신차급 중고차의 판매량이 오른데에 반해 연식 7~10년, 주행거리 10만km 내외의 실속형 중고차들은 시세가 월 2%씩 꾸준히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영중고차 업체 케이카가 국내 중고차 시장에서 유통되는 출시 12년 이내 국산·수입 740여개 중고차 모델 대상으로 올해 1월부터 8월 평균 시세를 전망한 결과, 국산차의 경우 1000만원 내외 모델의 평균 시세가 전월보다 2%가량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업체는 수입차 특히 고가 차량 위주의 하락세가 두드러질 것으로도 전망했다. 수입차 하락 상위 10개 차종의 경우 벤츠 GLE-클래스 W166·W167, 렉서스 LS500h 5세대,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4세대 등 시세 5000만원 이상 고가 차량들이 4.6~7.8% 내릴 것으로 내다봤다.
신차 출고 지연…. ‘신차급 중고차’ 판매량 올랐다
2022 파리모터쇼에서 지프가 브랜드 최초의 순수 전기차 어벤저(Avenger)를 공개했다. 400V 전기모터와 54kWh 배터리를 결합해 최고출력 115kw와 260Nm 토크를 발휘한다. 지프 고유의 오프로드 성능은 물론 탄소 배출이 없이 최대 주행거리 550km(WLTP 기준)를 갈 수 있는 전기차라는 점이 키 포인트다.
[모플포토] 지프 어벤저, 레니게이드보다 작은 순수 전기차 등장
中 자동차 내수시장 재고물량 증가, 역대 최고치 쌓였다
신고하기가 정상적으로 등록되었습니다. 빠른 시일 내에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첨부파일은 한 파일당 10MB까지 가능합니다.
등록 불가능한 확장자입니다.